7각(?) 셰이크핸드 블레이드의 첫인상
7각 셰이크핸드 블레이드의 첫인상 단지!!!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짧은 면접의 시간을 거쳤습니다. 소재나 적층구조, 반발력 또는 울림 등등...... 블레이드의 내재된 감각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은 과정이었고요. 이전까지 경험할 수 없었던,,,,,, 생소한 타구면의 형태!!! 그 형태가 제공하는 다른 감각을 경험해보고자 했을 뿐입니다. 일단 첫 필링이 손끝에서 잊혀지기 전에 몇 줄 끼적여둘게요. 가장 먼저 꺼내고 싶은 이야기는 이 블레이드가 저를 속이고 있는 느낌에 대해서입니다. 블레이드는 분명 무거워지고 넓어진 것이 팩트이나,,, 넓거나 무거운 느낌보다는 길이가 긴 블레이드를 들고 있는 느낌을 전해주는군요. 실측 타구면의 길이는 일반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데 말입니다. 포어핸드 스윙은 ..
대한민국탁구 “넘버1”의 블레이드튜닝 중,,,
대한민국탁구 “넘버1”의 블레이드튜닝 중,,, 시계 굴러가는 소리에 손끝이 떨립니다. 시간이 너무 촉박하군요. 서둘러야겠습니다. 그렇다고,,, 대충은 절대 용납할 수 없겠죠!!!!! 태평양을 건너갔다 와야 하는,,, 대한민국탁구 “넘버1”의 무기이기 때문입니다. 블레이드의 주인장에 대한 이야기나 블레이드의 튜닝 과정에 대한 기록은 차후에 이어드리는 것으로 하고요. 오늘은 수술(?)을 받기 위해 먼 길을 내달려온 블레이드만 아주 짤막하게 소개해드리고,,, 서둘러 수술실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의뢰받은 사항은 DHS W968 특주(국대용) 블레이드의 그립 이식 작업으로...... 블레이드의 주인장께서 전면 그립에 부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렌즈로부터 심각하게 그립감을 방해받고 있다 하시는군요. 여분의 블레이드에서..
제짝을 찾아서,,, 카보나도45
제짝을 찾아서,,, 카보나도45 (카보나도45 복원 / 두 번째 이야기) 잘라내고,,, 갈아내고,,, 물들여서,,, 복원을 마친 그립의 제짝을 찾아주는 시간입니다. 카보나도45 블레이드의 두 번째 복원작업인데요. 블레이드가 워낙에 연약해서 작업의 속도를 거칠게 붙이질 못하겠습니다. 거기에다 이번 개체는 너무 가벼워서 모양을 그럴싸하게 복원한다 해도 블레이드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모르겠군요. "일단 살려놓고 봅시다." 그립부위의 손상된 림바 표층부터 복구했고요. 잘록한 허리(?)는 ST을 얹어주기 위해 코르크시트로 보강해두었습니다. 작업종료 후의 예상중량이 80g을 넘기기가 어려워 보이는군요. 블레이드의 무게를 조금이라도 증량(2~3g)하기 위해 그립부의 홀을 메우기로 했습니다. 그립을 단단히 부착..
생환!!! 카보나도 45
생환!!! 카보나도 45 한을 품고,,, 짧은 생을 마감할 뻔했던,,, 카보나도 45가 살아 돌아왔습니다. 복잡했던 복원 과정의 잔상이 블레이드에 대한 신뢰를 방해하지만,,, 두드려 보았을 때 응답해주는 소리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는군요. 그렇다고 최고의 상태로 복원되었다 장담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최선을 다한 과정만은 기억해두기로 하죠. 향후 다른 작업의 참고 자료가 될 수도 있을까 싶어 그 과정을 사진으로 정리해놓겠습니다. [복원전] 그립을 얹을 자리는 아슬아슬하고 그립목도 얄팍하고,,, 그립부의 원형은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였죠. [복원 과정] 가장 먼저 준비한 작업은 그립목의 복원이었습니다. 뜯겨나간 2mm 가량의 1층 지반(?)부터 재건했고요. 다음으로 그립목을 얹을 자리를 복구했습니다.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