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티가

(20)
카보나도45 사이드복원 (국적을 표기하다 ⌒⌒ ) 카보나도45 사이드복원 국적을 표기하다 (>.
잠자는,,,STIGA DNA PLATINUM XH 독일서 생산한,,, 고경도(52.5°)의,,, STIGA 러버라??? 오랜만에 접하는 STIGA社의 러버입니다. 탁구용품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후배가 가장 최근에 흘리고(^^) 간 제품인데요. “형님이 좋아할 수도 있는 감각이라......”며 출석도 하지 못하고 있는 홈구장에 맡겨놓고 갔다합니다. 형님이 좋아할 수도 있는, 좋아할 수도 있는,, 좋아할 수도 있는,,, 좋아할 수도 있는,,,, 좋아할 수도 있는,,,,, 좋아할 수도 있는,,,,,, 제가 탁구계의 소문난 ‘팔랑귀’ 아니겠습니까요!!! 어찌하여 이 사람의 호기심을 또!!! 자극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이 시국에...... 오래 묵혀두지 않기를 바랄 뿐이고요. 후배님이 저의 취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었는지 꼭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굴 번..
재공사!!! 카보나도45 재공사!!! 카보나도45 타인의 블레이드를 손보는 작업은 절대로 즐거운 과정이 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살려야 한다 +최상의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늘 뒤따르기 때문인데요. 반면 내 블레이드에 칼을 꼽는 작업은 최악의 경우 블레이드를 잃는다 하더라도 해보고 싶었던 것을 시도해보는 일이라 항상 설레는 과정이 되곤 합니다. 결과에 대한 책임 없이 기대감을 즐기는 거죠. 그런데 말입니다. 아주 가끔은,,,,,, 내 블레이드를 손보는 일임에도 남의 블레이드 만지는 것 이상으로 재미없을 때가 있기도 하더라고요. 그것은 바로 재공사가 되겠습니다. 자신 있게 완성한 블레이드에서 하자가 발견되는 경우인데요. 같은 블레이드의 같은 자리에 두 번째 칼을 꼽는 것은 늘 내키지 않는 일입니다. 오늘은 그 흔치 않..
불가피한 디콘밀링기법 적용-카보나도45 불가피한 디콘밀링기법 적용-카보나도45 (카보나도45의 복원 / 세 번째 이야기) 오늘의 글감은 또!!! 카보나도45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렸었죠? ^^ 모 여자실업팀의 부탁으로 그립을 튜닝하는 과정에서 희생되었던 마지막(세 번째) 카보나도45가 되겠습니다. 그립부의 훼손정도가 너무 심각해서요. 손을 댈지,,, 말지를 오랜 시간 고민했습니다. 상황 상 불가피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원형과는 전혀 다른 디콘 밀링기법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원형복원을 포기하고 보니 조금은 수월한 길이 열리는군요. 어디 한번 꼼수를 부려봅시다!!! 산산이 뜯겨나간 그립부의 표층부터 과감하게 걷어내고,,, 텍스트림 층을 오픈해버렸어요. 대신 견고하게 2량의 교각을 전, 후에 동일하게 세웠습니다. 마스터그립 타입의 잘..
제짝을 찾아서,,, 카보나도45 제짝을 찾아서,,, 카보나도45 (카보나도45 복원 / 두 번째 이야기) 잘라내고,,, 갈아내고,,, 물들여서,,, 복원을 마친 그립의 제짝을 찾아주는 시간입니다. 카보나도45 블레이드의 두 번째 복원작업인데요. 블레이드가 워낙에 연약해서 작업의 속도를 거칠게 붙이질 못하겠습니다. 거기에다 이번 개체는 너무 가벼워서 모양을 그럴싸하게 복원한다 해도 블레이드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모르겠군요. "일단 살려놓고 봅시다." 그립부위의 손상된 림바 표층부터 복구했고요. 잘록한 허리(?)는 ST을 얹어주기 위해 코르크시트로 보강해두었습니다. 작업종료 후의 예상중량이 80g을 넘기기가 어려워 보이는군요. 블레이드의 무게를 조금이라도 증량(2~3g)하기 위해 그립부의 홀을 메우기로 했습니다. 그립을 단단히 부착..
생환!!! 카보나도 45 생환!!! 카보나도 45 한을 품고,,, 짧은 생을 마감할 뻔했던,,, 카보나도 45가 살아 돌아왔습니다. 복잡했던 복원 과정의 잔상이 블레이드에 대한 신뢰를 방해하지만,,, 두드려 보았을 때 응답해주는 소리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는군요. 그렇다고 최고의 상태로 복원되었다 장담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최선을 다한 과정만은 기억해두기로 하죠. 향후 다른 작업의 참고 자료가 될 수도 있을까 싶어 그 과정을 사진으로 정리해놓겠습니다. [복원전] 그립을 얹을 자리는 아슬아슬하고 그립목도 얄팍하고,,, 그립부의 원형은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였죠. [복원 과정] 가장 먼저 준비한 작업은 그립목의 복원이었습니다. 뜯겨나간 2mm 가량의 1층 지반(?)부터 재건했고요. 다음으로 그립목을 얹을 자리를 복구했습니다. 유..
살릴 수 있을까??? 살릴 수 있을까??? 무관심 속에 방치하는 것은 쓸어 담아 버리는 것보다 잔인한 겁니다. 사랑의 반대는 무관심이라 했던가요? ㅎㅎ 저의 무관심이 조금만 더 길어지면,,, 아마도 이 친구는 톱밥으로 분해되어 버릴지도 모르겠습니다. 얼마 전 소개해드렸던 STIGA 카보나도 45, 3자루의 튜닝과정에서 희생(?)된 개체 중 하나인데요. 조각조각 썰어서 복원용 재료로 활용할까...... 되든 안되든 블레이드로 환생을 시켜볼까...... 고민이 깊었습니다. 그립이 깔고 앉아 있던 중심층의 일부는 튜닝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다랗게 잘려나간 상태이고요. 그립 분리 과정에서 표층이 함께 뜯겨나간 부위는 까만 속살(텍스트림)을 드러내 놓고 있습니다. 쪼개지듯 떨어져나간 그립목도 대충 추슬러놓고 보니 원형과는 너무 거리..
STIGA 카보나도45 그립튜닝기 STIGA 카보나도45 그립튜닝기 ST(클래식) ▶▶▶ FL(마스터) 주말과 주일,,, 어린이날까지,,, 책상머리에 저를 꽁꽁 묶어두었던 카보나도45였습니다. 대략 1주간이 소요된 카보나도45의 그립튜닝과정을 한 장의 포스팅으로 재정리해볼까 해요. 라켓에 칼을 대게 된 사연은 이렇습니다. 국내의 모 실업탁구단에서 FL그립에, 88~89g 중량의 카보나도45 블레이드 3자루가 필요한 상황이었는데요. 공급사에 해당 SPEC의 제품은 재고가 없었다 합니다. 단시간에 해외로부터의 입고 또한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고요. 고민 끝에 공급사 재고분 중 86g대의 ST(클래식)그립 제품을 FL(마스터)그립으로 튜닝해 줄 수 있는지를 물어오셨습니다. 현역 선수들의 용구를 만지는 일은 부담이 너무 커서,,, 마냥 즐겁지만 ..
계산 착오!!!!!!! 계산 착오!!!!!!! 국내 모 실업팀으로부터 부탁받은 카보나도45 블레이드(3자루)의 그립튜닝을 모두 마쳤습니다.며칠 동안 짊어지고 있었던 무거운 부담을 내려놓게 되는군요. 큰 사고 없이 잘 마무리되었습니다만,,,1g 내외의 계산 착오가 발생하고 말았습니다.안타깝게도 1자루가 의로처의 희망중량 88~89g을 벗어났어요. (ㅠ.ㅠ) 계산 착오를 일으킨 주범은,,,바로 스티가 문양이 새겨진 뱃지! 아니 아니!!!뱃지의 무게를 염두에 두지 않고 작업한 젠틀핑퐁이란 놈이었습니다. 이 멍충아!!!덧셈, 뺄셈이 그리 어렵더냐??? ㅉㅉㅉ 단단히 닫아놓은 뚜껑(⌒⌒)을 다시 열어 살을 붙이는 것은 무리일 것 같습니다.블레이드의 주인장 되실 선수분께서 도저히 1g의 갭을 적응할 수 없으시다면,,,차후 뱃지를 제거하고..
가장 빠른 방법? 가장 완벽한 방법? 가장 빠른 방법? 가장 완벽한 방법? 새벽까지 이어진 작업으로 카보나도45의 탈피(?)과정에 많은 진전이 있었습니다. 오늘 해떨어지기 전에 모든 작업이 마무리되었으면 좋겠는데...... 가능할지 모르겠군요. 모자란 잠을 털어내기 위해 모닝커피를 한잔하면서 작업일지를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표층이 얇고, 소프트한 스티가 제품들은 그립목과 타구면의 접합부를 외상없이 원형 그대로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죠. 6자루를 모두 살리겠다는 과욕을 부리다 보면 6자루를 모두 잃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절반을 미련 없이 포기하고 나니 나머지 절반을 완벽하게 살릴 수 있었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었어요. 손상된 타구면,,, 뜯기다시피 분리된 그립목,,, 처참하게 파괴(?) 된 이 친구는 차,,,차후 ..
죽일 놈!!! 살릴 놈??? 죽일 놈!!! 살릴 놈??? 블레이드 튜닝을 위한 고민의 시간입니다. 6자루의 카보나도45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조합해서 의뢰처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3자루의 블레이드를 완성해야 하는데요. 의뢰받은 사항부터 다시 숙지하고 가겠습니다. ☆ 첫째, 그립은 무조건 FL(마스터)타입 ☆ 둘째, 중량은 88~89g 죽일 놈과 살릴 놈,,, 아니 죽여도 되는 놈과 반드시 살려야 하는 놈을 구분하는 일이 최우선이겠군요. FL(마스터)그립의 3종은 모두 저체중이라... -그립만 빼앗아 쓰고,,, -베이스의 활용은 차차 고민해보겠습니다. ST(클래식)그립의 3종은 모두 86g이니까... -FL그립으로 이식하면서,,, -3g내외의 체중을 증량하면 되겠네요. 죽일 놈을 상대로는 과감하게!!! 살릴 놈을 상대로는 신중하게!!..
하늘에서 블레이드가 쏟아지다. 하늘에서 블레이드가 쏟아지다. (부제: 일복 터짐!!!)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묵직한 것이...... 흠~~~’ 하늘에서 블레이드가 쏟아졌어요. ‘이렇게나 많이,,,,,, 엥~~~’ 제 것이라면 얼마나 설레겠습니까!!! ‘줄줄이 일복 터졌넹...... 헝~~~’ 검/빨 조합의 그립에 메탈실버 렌즈가 강렬한 첫인상을 전해주는 카보나도45 블레이드만 “한가득!!!”이군요. 국내 모 실업탁구팀의 부탁으로 카보나도45 블레이드에 칼(?)을 꼽게 되었습니다. 의뢰사항은 그립이식과 중량조절인데요. 현역선수가 사용할 장비라 나름 정성을 들여야 하고,,, 작업해야 할 수량도 적지 않은 관계로,,, 이전에 벌여놓은 공작놀이나 벌이려했던 공작놀이는 전면중단해야겠습니다. 만만치 않은 과정이 예상되는군요. 여러모로 갑갑한 ..
빨간 맛? 빨간 맛? (탁구 잊을 거리 만들기) 껍데기가 홀라당 벗어져버린...... 쌔˚˚˚빨간 맛??? STIGA 클리퍼CR 블레이드의 중심층입니다. 클리퍼 시리즈의 중심층은 아유스 소재가 3겹으로 적층 되어 있는데요. 바깥으로 드러난 찐˘ 레드 컬러가 살짝 혐오(?)스럽게 보입니다. 너무 오랫동안 탁구를 못 쳐서 심히 열 받아 있는 제 마음을 제대로 표현해주는 때깔이군요. 답답한 상황을 잠시라도 잊어버릴 수 있는,,,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어보기로 하겠습니다. 표층+두 번째 층이 떨어져 나간 적색 아유스 층의 단면에는 접착제 잔흔이 거칠게 남아있었는데요. 새롭게 블레이드를 꾸미기 위해 깔끔하게 세수(타구면 클리닝)부터 시켜주고,,, 잘록한 허리는 ST그립으로의 튜닝을 위해 미리 살을 붙여두겠습니다. 근간..
오펜시브클래식(카본)중펜>>>셰이크핸드 튜닝 오펜시브클래식(카본) 중펜>>>셰이크핸드 튜닝 Black & White 일전에 튜닝 실패담으로 소개해드린 적이 있었던 블레이드입니다. 오펜시브클래식(카본) 중펜인데요. 단순한 피부 트러블(?)이겠거니 생각하고 만만하게 덤볐다가 낭패를 경험하게 해 준 녀석입니다. 전면은 멀끔한데 후면은 단순한 피부병이 아니라 아토피 수준이군요. 스마트폰의 액정보호필름을 엉성하게 부착한 것처럼 몰골이 너저분합니다. 올록볼록 엠보싱(?) 표층을 어찌해야 할까요? 적당히 복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표층을 걷어내고 동일 소재(Limba)를 다시 덮어주기로 했어요. 표층 손상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 과감하게 그립부터 뜯어냈습니다. 커피색으로 염색된 림바 표층을 끌칼로 적당히 벗겨내고요. 편편하고 깔끔하게 샌딩 ..
작전 실패,,,,,, 작전 실패,,,,,, 세상일이라는 것이 항상 내 뜻대로 되는 것만은 아닌가 봅니다.꽤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했던 방향이 가시밭길일 때도 있고 그 끝이 끊어져 있기도 하죠.떠밀려 들어선 길이 아니라면 그 결과는 선택한 자의 몫입니다.원하던 결과가 아니라 하더라도 '그럴 수도 있지'하면서 털어버리자고요. ⌒⌒ 간만에......밀어두었던 만들기 숙제(?)를 책상 위에 펼쳐놓았습니다.모 용품사에서 튜닝재료로 사용하라고 보내주신 중국식 펜홀더 블레이드인데요.STIGA 오펜시브클래식카본 블레이드가 되겠습니다. 관심대상의 블레이드 중 하나였으나,,, 코로나19의 여파로 탁구를 접어두고 있는 상황이라 용품탐구욕 또한 모두 거둬들인 상태였죠. 대충 훑어봐서는 멀쩡해 보여,,, 한번 살려보기로 했습니다. 스캐닝>>>>>>>..